본문 바로가기

오늘부터 사회학 공부15

니체_4 니체의 사상_2(허무주의, 힘에의 의지, 도덕 비평, 영원회귀) 니체의 사상 허무주의 니체는 그의 저서 에서 허무주의(Nihilismus)에 대해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허무주의: 목표가 결여되어 있으며 ‘왜?’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결여되어 있다. 허무주의는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 최고가치들에서 탈가치화하는 것 -1887년 허무주의는 병리적 중간 상태를 의미한다. 병리적이라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결론을 내려버리는 끔찍한 일반화를 뜻한다. -1887년 니체가 주장하는 허무주의는 ‘수동적 허무주의 (Der passive Nihilismus)’와 ‘능동적 허무주의(Der active Nihilismus)’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수동적 허무주의’란 쉽게 이야기하자면 염세주의로 표현할 수 있다. 즉 허무감에 사로잡혀있는 상태를 이야기한다. 다르게 말.. 2022. 7. 15.
니체_3 니체의 사상_1(퇴폐성 비판, 일원론, 신의 죽음, 위버멘쉬) 니체의 사상 퇴폐성 비판 니체는 우리 세계에 적용되어 있는 도덕적 세계관이 인간의 삶을 자유롭지 못하게 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다음과 같은 니체의 글에 그의 사상이 나타난다. “마누, 플라톤, 공자, 유대교 교사들과 기독교 교사들, 이들은 거짓을 지껄이면서도 그것이 자신의 권리임을 믿어 의심치 않았다.” 中 “모든 시대의 현자들은 삶에 대해 같은 결론을 내렸다. 삶이란 의미 없는 것이라고 말이다” 中 니체는 불교와 기독교를 포함한 이전부터 지금까지 존재하는 모든 도덕적 사상들은 데카당(decadent), 즉 퇴폐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하고 비판한다. 또 플라톤을 탐구했던 니체는 그의 저서 의 서문에서 기독교는 대중을 위한 플라톤 사상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일원론(생기 존재론) 니.. 2022. 7. 14.
니체_2 교수가 된 니체와 그의 죽음 바젤대학교 교수가 된 니체(1869~1879) 니체는 24살이 되었을 때 리츨 교수의 도움을 받아서 스위스의 바젤 대학교의 고전문헌학 교수 자리를 맡게 되었다. 바젤 대학교 교수가 된 후, 니체는 프로이센의 국적을 포기했고, 죽을 때까지 공식적인 시민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니체는 1870년부터 1871년까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군의관으로 일하기도 했는데, 발터 카우프만은 니체가 군의관으로 활동할 당시에 매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후에 다시 바젤 대학교로 돌아온 니체는 독일제국의 설립과 비스마르크의 등장을 보게 된다. 니체의 강연 니체는 취임 강의로 “호메로스와 고전문헌학”(Homer und die klassische Philologie)을 강연했다. 니체는 신학과.. 2022. 7. 12.
니체_1 출생과 철학과의 만남 니체에 대하여 독일의 철학자이자 문헌학자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망치를 든 철학자’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그 이유는 기독교 가치관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서구의 전통을 깨부수고 새로운 가치를 세우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니체는 그리스도교의 도덕과 합리주의의 시작을 밝혀내려고 열심히 탐구했고, 이성적인 것들의 실제는 광기와 비이성에서부터 시작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독교와 관념론은 세계를 두 개로 나뉘어 설명한다. 예를 들면 기독교는 우리가 사는 이 땅 외에 천국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플라톤은 세계를 이데아계와 현상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하지만 니체는 이러한 구분을 인정하지 않고 ‘이 땅에서의 삶을 사랑할 것’을 강하게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 2022.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