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부터 사회학 공부15

[오늘부터 사회학 공부] 질적 연구 질적 연구 질적 연구(質的硏究)는 대상의 질적인 측면에 집중하여 진행하는 연구이다. 정성적 연구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qualitative research라 한다. 질적 연구에서 다루는 자료는 형태가 없는 자료, 즉 무형 자료라고 한다. 연구 대상의 양적인 측면에 집중하는 양적 연구와는 대비되어서 질적 연구는 수치화되지 않는 자료(비수치적, 비통계적, 비수학적)를 얻기 위해 주로 사회학, 문화인류학, 사회심리학 등에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그림, 문서, 역사 기록, 관찰 결과, 인터뷰 등 질적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리고 정책학에서도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정책의 처방적 특성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미국에서는 성공한 정책이라고 해도 한국에서 반드시 성공한다고는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미.. 2022. 7. 1.
[오늘부터 사회학 공부] 사회 운동 총론 이 시대는 사회 운동의 시대라고 이야기해도 그것은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현대 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어떠한 모양으로든 사회 운동과 연관되어 있으며, 사회 운동을 통해서 자신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하거나 넓혀나가면서, 또는 다양한 경험을 쌓고 서로 주고받으면서 생활을 누리고 있다. 사회 운동은 현대의 일상과 깊게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사회 운동은 자본주의 사회가 가진 형태상의 부조리로부터 발생하는 항쟁, 대립, 알력 가운데에서 확실한 목적을 가지고, 목적을 이루는 데에 필요한 지속성, 조직, 규율 등을 이루고, 그러면서도 사회적 영향력을 약간은 가지고 있는 운동을 일컫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급 간의 부딪힘을 떠나서는 사회 운동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자본주의 사회는 노.. 2022. 6. 28.
[오늘부터 사회학 공부] 실증주의, 반실증주의, 사회 구성주의 실증주의 실증주의(positivism)는 실증적 검증과 감각적 경험에 기초한 것만이 명백한 지식이라고 보는 과학 철학 인식론적 견지이다. 실증주의적 접근법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사상에서 이야기가 계속되던 주제’였고, 11세기에 알하이탐의 『광학서』에서도 나오고, 19세기 초에 콩트로 인해서 실증주의의 개념이 더욱 성장하게 되었다. 콩트는 라플라스와 같은 계몽주의 사상가들로부터 시작된 과학 철학의 접근 방식을 접목하여 과학적 방법이 사상에서는 형이상학을 대신한다고 보았고, 과학의 관찰과 이론이 상호 의존적이라고 보았다. 사회학의 실증주의는 후에 뒤르켐에 의해서 사회 조사의 기본으로 확장되었다. 20세기가 되면서 막스 베버와 지멜과 같은 독일의 사회학자들이 실증주의 사회학을 나.. 2022. 6. 27.
[오늘부터 사회학 공부] 사회학을 대표하는 학자_2 에밀 뒤르켐 뒤르켐이 등장하기 전에 이미 콩트의 실증주의 사회학이 있었지만 콩트는 자기의 사상을 완전하게 성장시키지 못했다. 콩트의 주장은 뒤르켐에서부터 조금씩 명확한 기반을 획득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콩트는 사회학이라는 단어를 창조해내긴 했지만, 신학적 단계에서 형이상학적 단계로, 그리고 이어서 실증적 단계로 이어지는 콩트의 역사 발전 도식은 과학성 측면에서는 조금은 떨어지는 게 현실이었다. 하지만 그와 달리 뒤르켐은 사회학을 ‘경험적 근거’를 토대로 가지고 해석하고자 노력했다. 뒤르켐은 사회실재론을 주장한다고 밝혔다. 뒤르켐은 사회의 법칙이 자연과학에서 나오는 법칙들과 다르지 않다는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개개인으로부터 사회를 독자적인 하나의 물체로 바라보아야만 한다고 이야기했다. “사회적 사실을 .. 2022. 6. 27.